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6
코딩테스트 연습 - 기능개발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
progresses | speeds | return |
[93, 30, 55] | [1, 30, 5] | [2, 1] |
[95, 90, 99, 99, 80, 99] | [1, 1, 1, 1, 1, 1] | [1, 3, 2]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 공지 - 2020년 7월 14일 테스트케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
풀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progresses, vector<int> speeds)
{
int Count = 0;
int Max = 0;
vector<int> answer;
for (int i = 0; i < progresses.size(); i++)
{
int pLeft, dLeft;
pLeft = 100 - progresses[i];
dLeft = pLeft / speeds[i];
if (progresses[i] + (dLeft * speeds[i]) < 100)
dLeft++;
if (Max < dLeft)
{
if (Count != 0)
{
answer.push_back(Count);
}
Count = 1;
Max = dLeft;
}
else
{
Count++;
}
}
answer.push_back(Count);
return answer;
}
|
cs |
분류가 스택/큐로 되어있는데, 전혀 활용하지 않고 문제를 풀어버렸다.
알고리즘은 우선 pLeft에는 100-progress[i]를 통해 프로세스가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하고,
dLeft에는 pLeft / speeds[i]를 통해 며칠이 남았는지 확인한 뒤 만약 dLeft가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였다고 한다면 1을 증가시켜준다.
이후 Max와 dLeft를 비교하여 Max가 작다면 첫번째 조건문에 들어가게 되는데,
Count가 0이 아니라면 answer에 입력하고, Count가 0이라면 Count를 1로 바꿔준 뒤 Max를 dLeft값으로 변환시켜준다.
만약 Max가 dLeft보다 크거나 같다면 Count만을 증가시켜 며칠이 걸리는지 계속 체크해준다.
이를 반복하다보면 Max<dLeft 조건을 만족하고 Count가 0이 아닌 순간이 오게 되는데, 이 경우는 앞선 작업이 끝났다는 뜻이 되어 answer에 입력을 해주게 된다.
또 반복이 끝나게 된다면 마지막 process가 남아있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에 그 prosess 또한 answer에 넣어주고, 반환하는 형식으로 구현하였다.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 C++] 타겟 넘버 (0) | 2022.02.23 |
---|---|
[Programmers / C++] 카펫 (0) | 2022.02.23 |
[Programmers / C++] 다리를 지나는 트럭 (0) | 2022.02.22 |
[Programmers / C++] 다음 큰 숫자 (0) | 2022.02.22 |
[Programmers / C++] 모음 사전 (0) | 2022.02.21 |